출처: 요미우리 신문 홈페이지
고농도의 방사성물질의 방출이 계속되는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능 오염의 공포와 싸우면서, 결사의 작업이 계속되고있다. 15일 아침에 큼 폭발이 있었던 2호기, 토쿄전력과 협력 기업의 작업인들 800명이 물 주입작업을 하고 있었으나, 폭발에 따라 「필요 최소한」의 인원 50명만 남기고, 750명이 일시, 현장을 떠났다. 피폭을 피하기 위해, 방사성량이 높아지면 작업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된다. 15일 오전, 바로 옆에 있는 3호기 부근에서 관측된 400밀리 Sievert를 기록한것은, 작업원이 휴대하고 있는 방사선 감시 장치였다.
12일 오후, 고압의 1호기의 수납용기의 증기를 줄이기 위해 밸브가 개방되었다. 수납용기에 균열이 생기는 최악의 사태는 피했다. 그 밸브를 여는 작업을 한 남성은, 100밀리 Sievert 이상의 방사선을 쐬어, 구토 증상을 호소해 병원에 후송되었다.
원래, 이 작업에는, 대량의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다. 이 때문에, 1호기의 구조를 자세하게 아는 베테랑 사원인 당직자가 작업을 담당. 「Tyvek」이라고 하는 특수한 전신복과 마스크를 쓰고, 재빨리 밸브를 열었으나, 10분 간 만에 일반인이 1년간 쐬어도 무관한 방사선량의 100배에 달하는 방사선을 쐬었다.
경제산업소원자력안전·보안원에 따르면, 동 원전에 물을 주입 작업을 담당하는 토쿄전력직원들은 약 70명. 긴급시 대책실에서 펌프등을 제어하며 교환하면서 수납용기부근의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중앙제어실에서 감시할 수 있는 계기도, 피해후, 고장나 계측 불능인 것도 있다. 원거래 제어도 불능으로, 원자로 냉각을 위해에 밸브를 여는 작업도 수작업으로 할 수 밖에 없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1971년에 1호기가 가동한 낡은 원전으로, 통로등이 좁아 작업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주입이 진행되면 원자로 내의 압력이 상승해, 원자로의 붕괴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밸브를 열어 가스를 외부에 방출해가며 진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가스는 방사성물질을 담고 있기 때문에, 방출 자체는 최소한으로 억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토쿄전력의 담당자는 「밸러스를 봐가며 아슬아슬한 선택의 연속이다.」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
그 쪽 사람들도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계속 노력 중입니다. 그것도 생명을 바쳐가며 노력 중입니다. 일단은 응원을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