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이 논문의 주된 아이디어는 현재까지 체르노빌 참사의 결과를 관찰하고 기록한 연구자들로부터 나온 결과의 간략하고 체계적인 형태에 기초한다. 우리의 관점에서, 이런 분석은 2005년 9월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와 The World Health Organizaion (WHO) 에서 제출하고 공포한 "The Chernobyl Forum 보고서 [IAES (2006), The Chernobyl Legacy: Health,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Impact and Recommendation to the Governments of Belarus, the Russian Federation and Ukraine 2nd Rev. Ed. (IAEA, Vienna): 50 pp.] 가 재해의 결과에 대해 충분히 자세한 사실을 거론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고 여긴다. ( http://www.iaea.org/Publications/Booklets/Chernobyl/chernobyl.pdf ).
IAES/WHO의 "Chernobyl Forum"에 의해 촉발되어, 체르노빌 참사 20주년 전에 그린피스 인터네셔널의 주관하에 많은 전문가들, 주로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 (아래에 리스트가 있음) 의 전문가들이 체르노빌 참사에 대한 최근의 자료와 출간물들을 제공해주었다. 그린피스 인터네셔널은 그 외에도 수많은 체르노빌에 관한 자료들과 권위있는 논문들을 모았다. 이런 자료들은 알렉세이 야블로코프에 의해 수년간에 걸쳐 모아진 체르노빌 문헌에 더해졌다. [A.V.Yablokov (2001): Myth of the Insignificance of the Consequences of the Chernobyl Catastrophe (Conter for Russian Environmental Policy, Moscow): 112 pp. (//www.seu.ru/programs/atomsafe/books/mif_3.pdf)(in Russian)]
2006년4월18일, 체르노빌 참사 20주년 이전에 "The Chernobyl Catastrophe-Consequences on Human Health"가 야블로코프 (A.Yablokov), 라분스카 (I. Labunska), 블로코프 (I. Blokov) 저로 출간되었다. (그린피스, 암스테르담, 2006, 137pp.; www.greenpeace.org/international/press/reports/chernobylhealthreport ) 기술적인 이유로 위에 언급된 모든 자료를 책에 넣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래서 원자료 중 일부를 "The Health Effects of the Human Victims of the Chernobyl Catastrophe: Collection of Scientific Articles" 블로코프, 사도우니흐(T. Sadownichik), 라분카, 야블로코프 저로 출간하였다. (그린피스, 암스테르담, 2007, 235 pp.; http://www.greenpeace.to/publications/asp#2007 http://www.greenpeace.to/greenpeace/wp-content/uploads/2013/05/Final-text-of-the-book_2007.pdf) 2006년에는 체르노빌 참사 20주년을 맞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 독일, 스위스, 미국과 여러 국가에서 많은 컨퍼런스가 열렸다. 멜트다운의 결과로 보이는 새로운 자료들을 다룬 다음의 보고서가 출간되었다.
· "The Other Report on Chernobyl (TORCH)" [I. Fairly and D. Summer (2006), Berlin, 90pp].
· "Chernobyl Accident's Consequences: An Estimation and the Forecast of Additional General Mortality and Malignent Diseases" [Center of Independent Ecological Assessment, Russian Academy of Science, and Russian Greenpeace Council (2006), Moscow, 24pp]
· Chernobyl: 20 Years On. Health Effects of the Chernobyl Accident [C. C. Busby and A.V. Yablokov (Eds.) (2006), European Commitee on Radiation Risk, Green Audit, Aberystwyth, 250pp. ].
· Chernobyl. 20 Years After. Myth and Truth [A. Yablokov, R. Braun, and U. Watermann (Eds.) (2006), Agenda Verlang, Munster, 217pp.].
· "Health Effects of Chernobyl: 20 Years after the Reactor Catastrophe" [S. Pflugbeil et al. (2006), German IPPNW, Berlin, 76pp.].
· Twenty Years after the Chernobyl Accident: Future Outlook [Contributed Papers to International Conference. April 24-26, 2006. Kiev, Ukraine, vol. 1-3, HOLTEH Kiev, www.tesec-int.org/T1.pdf (수정 주소: http://www.tesec-int.org/GInf-Engl.pdf)]
· National Belarussian Report (2006). Twenty Years after the Chernobyl Catastrophe: Consequences in Belarus and Overcoming the Obstacles. Shevchyuk, V.E., & Gurachevsky, V. L. (Eds.), Belarus Publishers, Minsk, 112pp. (in Russian).
· National Ukrainian Report (2006). Twenty Years of Chernobyl Catastrophe: Future Outlook. Kiev, http://www.mns.gov.ua/news_show.php?news_id=614&p=1 (수정 주소: http://www.mns.gov.ua/chornobyl/20_year/03/n_report_ENG.pdf).
· National Russian Report (2006). Twenty Years of Chernobyl Catastrophe: Results and Perspective on Efforts to Overcome Its Consequences in Russia, 1986-2006. Shoigu, S. L. & Bol'shov, L. A. (Eds.), Ministry of Emergencies, Moscow, 92 pp. (in Russian).
참사의 결과에 대한 과학적인 저술은 이미 3만권, 주로 슬라브언어로 작성된, 을 넘어서고 있다. 또한 여러가지 인터넷 정보 시스템에 수백만의 저술과 자료들이, 서술, 회고록, 지도, 사진 등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글에는 1450만가지가 있고, YANDEX (러시아 검색엔진) 에는 187만가지, RAMBLER (러시아 포털 서비스) 에는 125만가지의 인용이 존재한다. 여러가지 체르노빌 인터넷 모임이 있는데, 그 중에 유명한 것은 "Children of Chernobyl"과 체르노빌 수습 작업원("청산인이라고 불리우는")들의 모임이 있다. 과학적인 요약본인 The Chernobyl Digest는 1990년부터 수많은 주석을 포함한 간행물과 벨로루시와 러시아 과학 단체들의 협조로 민스크에서 출판되었다. 그와 동시에 체르노빌 사고의 결과에 관한 "가장 폭넓고 객관적인 리뷰"라고 IAEA/WHO에 의해 소개된, "체르노빌 포럼"은 불과 주로 영어로 출간된 350개의 간행물을 언급했을 뿐이다.
본 조사 보고서는 약 1000개의 타이틀을 포함하고 있고, 5000개의 출판물과 주로 슬라브어로 되어있는 인터넷 출판물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본 저자는 체르노빌 참사의 결과를 언급한 논문의 모든 동료들을 본 논문에 기재하지 못하는 것에 사과를 드립니다. 모든 리스트를 올리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각 장의 저자는:
· Chapter Ⅰ: Cherbobyl (Chernobyl의 오타로 보임) Contamination: An Overview - A. V. Yablokov and V. B. Nesterenko;
· Chapter Ⅱ: Copnsequences of the Chernobyl Catastophe for Public Health - A. V. Yablokov;
· Chapter Ⅲ : Consequences of the Chernobyl Catastrophe for the Environment - A. V. Yablokov; V. B. Nesterenko, and A. V. Nesterenko;
· Chapter Ⅳ : Radiation Protection after the Chernobyl Catastophe - A. V. Nesterenko, V. B. Nesterenko, and A. V. Yablokov.
최종판에는 모든 저자들의 협업이 있었으며, 그들의 관점을 표현했습니다. 몇몇 편집에 관해 중요한 것은:
1. 특정한 사실은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에 의해 오랫동안 인정된 형태로 제공되었습니다.
2. "체르노빌 오염", "오염", "오염된 지역", "체르노빌 지역"은 체르노빌 참사의 결과로 발생된 낙진에 의한 방사능 오염을 의미합니다. "지역에서 질병의 분포 ..."는 특정한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 있어서 질병의 발생을 의미합니다.
3. "참사"는 1986년 4월 26일에 시작된, 우크라이나에 있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 있는 네번째 반응로의 폭발의 결과로서 엄청난 방사능물질이 공기와 지하수로 퍼진 것을 의미합니다.
4. "약함", "낮음", "높음"(혹은 "심한") 방사능 오염은 공식적으로 지정된 특정 지역에서의 방사능 오염의 차이, 즉 1 Ci/㎢ (<37kBq/㎡) 이하; 1-5Ci/㎢ (<37-185kBq/㎡);5-15Ci/㎢ (<185-555kBq/㎡);15-40Ci/㎢ (<555-1480kBq/㎡)을 의미합니다.
5. "깨끗한 지역"는 기존의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참사이후 처음 몇주와 몇달 동안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유럽쪽 러시아, 유럽, 그리고 북반구의 대부분은 체르노빌 방사능 낙진에 노출되었습니다.
6. 오염의 정도(양)은 전통적인 수치, 제곱킬로미터당 큐리(Ci/㎢), 혹은 제곱미터당 베크렐(Bq/㎡)로 표시합니다.
본 논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Chapter Ⅰ은 체르노빌 사고의 추정 레벨과 방사성 오염, 주로 북반구, 의 특징을 제공합니다. Chapter Ⅱ는 참사에 의한 공공건강을 분석했습니다. Chapter Ⅲ는 환경에의 영향을 기술했습니다. Chapter Ⅳ는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로 범위를 축소해서 체르노빌의 결과를 논의했습니다. 본 논문은 전반적인 결론으로 끝을 맺습니다.
수많은 자료에도 불구하고, 계속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으 지식은 불충분합니다. 하지만, 역사상 가장 큰 재난의 결과를 알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코맨트와 제안은 다음의 주소로 부탁드립니다.
Alexey Vladimirovich Yablokov, Russian Academy of Sciences, Leninsky Prospect 33, Office 319, 119071 Moscow, Russia. Yablokov@ecopolicy.ru
또는
Alexey Vassil’evich Nesterenko, Institute of Radiation Safety (BELRAD), 2-nd
Marusinsky Street, 27, Belarus, Minsk, 220053. anester@mail.ru
또는
Janette D. Sherman-Nevinger, Environmental Institute, Western Michigan Univer-
sity, Kalamazoo, Michigan. Contact: P.O. Box 4605, Alexandria, VA 22303, USA.
toxdoc.js@verizon.net
ALEXEY V. YABLOKOV AND VASSILY B. NESTERENKO
----------------------------
- 본 번역물은 저작자로부터 허락을 받지 않았습니다. 저작자 및 그에 상응하는 개인, 혹은 단체로부터 삭제요청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삭제, 공표하지 않습니다.
- 원본의 취지에 맞지 않는, 번역물의 오류, 오자, 잘못된 번역은 의도되지 않았으며, 보다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면 수정하겠습니다.
- 수정요청은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 다음 장의 Acknowledgments 부분은 도움 주신 분들에 대한 감사의 내용이고, 직접 볼 수 있으며, 번역에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