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5/31

Chernobyl Consequences of the Catastrophe for People and the Environment 한국어 번역

 http://www.strahlentelex.de/Yablokov%20Chernobyl%20book.pdf


Introduction: The Difficult Truth about Chernobyl
Alexey V. Nesterenko,a Vassily B. Nesterenko, a and Alexey V. Yablokovb

a Institute of Radiation Safety (BELRAD), Minsk, Belarus
b Russian Academy of Sciences, Moscow, Russia 
 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은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네번째 반응로가 터지기 전과 후로 나눠진다. 체르노빌 참사는 기술적인 모험심과 "청산인"이라고 불리우는 사람들의 흩뿌려지는 방사능을 가두려는 영웅적인 노력과 무고한 희생자들에게 상상할 수 없는 위험을 알리는 것을 두려워한 비겁함, 그 자체였다. 체르노빌은 고통과 동의어가 되었고, 우리의 삶에, 체르노빌 청산인, 체르노빌의 아이들, 체르노빌 AIDs (체르노빌 사고 이후 작업원들과 주민들에게서 보여지는 증상들), 체르노빌 오염, 체르노빌 심장, 체르노빌 먼지, 체르노빌 목걸이 (갑상선 질환), 등등의 단어를 만들어주었다.

 지난 23년간 원자력발전소 안에 숨겨져있는 핵무기의 위험은 더 커졌다. 반응로 하나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오염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핵폭탄의 수백배를 넘는다. 어떤 나라의 어떤 시민도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고 할 수 없다. 핵반응로 하나는 지구의 반을 오염시킬 수 있다. 체르노빌 낙진은 북반구 전체에 퍼져버렸다.

 문제는 계속된다: 얼마나 많은 방사성 핵종이 퍼졌는가? 얼마나 많은 방사능이 반응로를 덮고있는 석관 안에 남아있는가? 누구도 정확히는 알지 못하지만, 추정치는 50 × 106 Ci, 혹은 반응로로부터 방출된 전체 방사성 핵종의 4-5% 에서부터 반응로가 완전히 비어지게 될 때까지 10 × 109 Ci가 지구상에 퍼질 것이라고 한다. (Chapter Ⅰ.1) 소련 국방부 (USSR Ministry of Defense) 의 1989년 6월 9일에 있었던 지시로 인한 작업으로 얼마나 많은 청산인들이 치료를 받았는 지도 기밀 유지 때문에 알 수 없다. (Chapter Ⅱ.3)

 2005년 4월 체르노빌 참사 20주년을 맞아, 세번째 체르노빌 포럼이 비엔나에서 열렸다. 세계원자력발전기구(IAEA), The United Nationa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과 세계보건기구(WHO)의 대표, 미국의 전문가들, 세계은행, 벨라루스, 그리고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정부기관이 참석했다. 포럼의 결과는 2005년 9월 세권의 보고서로 발표되었다. (IAEA, 2005; UNDP, 2002; WHO, 2006; 최종적인 축약 버전은 IAEA, 2006)

 보고서는, 9,000명의 희생자가 사망했거나 방사성에 의한 암이 진행되고 있으나, 자연적인 암 발생을 이유로 들면서, "죽음의 정확한 원인을 결론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라고 의학적인 기본 결론을 내고 있다. 약 4,000명의 아이들이 갑상선 암의 수술을 받았다. 오염된 장소에서는 청산인과 아이들에게 백내장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몇몇은 오염된 지역의 사람들 사이에의 가난, 피해의식, 체념이 방사능 오염보다 위험하다고 믿고 있다. 원자력 산업과 관련있는 몇몇 전문가들은 대중 건강에 있어 부정적인 결과는 지금까지 생각해왔던 것과는 달리 분명하지 않다고 결론내렸다.

 코피 아난은 그에 정반대되는 성명을 냈다:

 우리는 체르노빌이란 단어를 잊고 싶습니다. 하지만 7백만의 인류는 망각의 사치를 가질 수 없습니다. 그들은 사고로 인해 여전히 매일 고통받고 있습니다...희생자의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3백만의 아이들이 2016년까지 치료를 받아야 하고 이들 중 많은 이는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그들의 미래는 물론 어린 시절까지 체르노빌에 의해 훼손되었습니다. 많은 이가 너무 어린 나이에 죽을 것입니다. (AP, 2000)

 체르노빌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거주지에는 최소 30억의 인구가 거주한다. 13개 유럽국가의 50%와 다른 8개 국가의 30%가 체르노빌 낙진에 오염되었다. (Chapter Ⅰ.1) 생물학적이며 통계적인 법칙에 의하면 이 지역에서 많은 세대에 걸쳐 악영향이 나타날 것은 확실하다.

 참사 이후 즉시, 의사들은 오염된 지역에서의 확연한 질병의 증가를 목격했고, 도움을 요청했다. 원자력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와 고위 공직자들은 체르노빌 방사성물질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거는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참사 이후 10년이 안되어 공식적으로 갑상선암이 "예상외로" 증가했다고 인정하기 시작했다. 1985년 이전에는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유럽에 살고 있는 아이들의 80%이상이 건강했다: 오늘날에는 20%이하만이 건강할 뿐이다. 심각하게 오염된 곳에서는 건강한 아이들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Chapter Ⅱ.4)

 오염된 지역에서는 오직 방사선만이 바뀌었을 뿐이기 때문에, 의학검사와 사회경제적인 요인에서 원인을 찾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생각한다. 체르노빌 방사선의 끔직한 결과 중에는 악성 종양과 임신 중의 뇌손상이 있다. (Chapter Ⅱ. 6)

 왜 전문가들의 평가를 이토록 달라지는가?

 몇가지 이유가 있다. 방사성물질에 의한 질병은 다른 질병과 조사받은 방사선의 양과 상호 관계가 있다는 전문가도 있다. 하지만 처음 몇일간에 얼마만한 양의 방사선을 쐬었는지 조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처음의 피폭량은 몇 주 그리고 몇 달 후에 측정했을 때와는 수천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수많은 핵종을 다 파악하는 것과 그것들이 누적되는 "핫스팟"을 알아내거나, 모든 동위원소. 예를 들어 Cs, I, Sr, Pu 등등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는 것, 그리고 음식물을 통해 섭취되는 방사성물질의 종류와 총량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두번째 이유로는, 어떤 전문가는 방사선에 의한 영향에 대해 , 히로시마나 나가사키에서 행해졌던 것과 마찬가지로, 총 피폭량을 통해서만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한다. 일본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후 처음 4년간 어떤 연구도 금지되었다. 그 동안 100,000명 이상에 달하는 노약자들이 사망했다. 비슷한 패턴이 체르노빌에서도 일어났다. 하지만, 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소련 당국은 공식적으로 방사선에 관한 처음 3년간의 모든 자료와 질병을 연관시키는 것을 의사들에게 금지시켰다. (Chapter Ⅱ.3)

 과학자들은 독립적으로 여러 장소에서 동일한 인종, 사회, 경제계층에 대해 서로 다른 방사선에의 노출 정도에 의한 개인들의 건강을 비교했다. 특정한 그룹에 대해 오랜시간동안 과학적으로 타당한 방법으로 비교해왔고, 그 비교는 체르노빌 낙진에 의한 건강상의 확실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냈다. (Chapter Ⅱ.3)

 이 논문은 체르노빌 참사의 진정한 결과를 결론짓고 기록에 남기고자 한다.

References


AP (2000). Worst effects of Chernobyl to come. Associated Press 25 April 2000 (//www.209.85.135.104/search?q=cache: EN91goYTe_gJ: www.scorched3d.co.uk/phpBB3/viewtopic.php%3Ff%3D12%26t%3D5256%26st%3D0%26sk%3Dt%26sd%3Da+Kofi+Annan+million+children+demanding+treatment+Chernobyl+2016&hl=ru&ct=clnk&cd=18&gl=ru).
IAEA (2005).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the Chernobyl Accident and Their Remediation: Twenty Years of Experience. Report of the UN Chernobyl Forum Expert Group “Environment” (EGE) August 2005 (IAEA, Vienna): 280 pp. (//www-pub.iaea.org/MTCD/publications/PDF/Pub1239_web.pdf ).
IAEA (2006). The Chernobyl Legacy: Health,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Impact and Recommen-dations to the Governments of Belarus, the Russian Federation and Ukraine, 2nd Rev. Edn. (IAEA, Vienna): 50 pp. (//www.iaea.org/publications/booklets/Chernobyl/Chernobyl.pdf).
UNDP (2002). The Human Consequences of the Chernobyl Nuclear Accident: A Strategy for Recovery. A Report Commissioned by UNDP and UNICEF with the Support of UN-OCHA and WHO (UNDP, New York): 75 pp. (//www.chernobyl.undp.org/english/docs/Strategy%20for%20Recovery.pdf (수정주소: http://chernobyl.undp.org/english/docs/strategy_for_recovery.pdf) ).
WHO (2006). Health Effects of the Chernobyl Accident and Special Health Care Programmes. Report of the UN Chernobyl Forum Expert Group “Health.” B. Bennett, M. Repacholi & Zh. Carr (Eds.) (WHO, Geneva): 167 pp. (//www.who.int/ionizing_radiation/chernobyl/WHO%20Report%20on%
20Chernobyl%20Health%20Effects%20July%2006.pdf).
----------------------------
- 본 번역물은 저작자로부터 허락을 받지 않았습니다. 저작자 및 그에 상응하는 개인, 혹은 단체로부터 삭제요청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삭제, 공표하지 않습니다.


- 원본의 취지에 맞지 않는, 번역물의 오류, 오자, 잘못된 번역은 의도되지 않았으며, 보다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면 수정하겠습니다.


- 수정요청은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