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Ⅰ. Chernobyl Contamination: An Overview
http://www.strahlentelex.de/Yablokov%20Chernobyl%20book.pdf
Vassily B. Nesterenkoa and Alexey V. Yablokovb
aInstitute of Radiation Safety (BELRAD), Minsk, Belarus
bRussian Academy of Sciences, Moscow, Russia
Key words: Chernobyl; radioactive contamination;lead contamination;Northern Hemisphere
Chapter Ⅰ. Chernobyl Contamination: An Overview
1.2.1.1 벨라루스
특히 벨라루스는 I-131, I-132, Te-132 방사성핵종을 포함한 체르노빌 구름이 전역을 뒤덮었다. (Figures 1.8 부터 1.12)
1986년 5월에 I-131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고멜 지방에 있는 스벨로비흐(Svetlovichi) 마을로, 600Ci/㎢였었다.
벨라루스의 약 23%에 달하는 지역(약47,000㎢)에서는 Cs-137이 1Ci/㎢ 이상으로 나타났다. (Nesterenko, 1996; Tsalko, 2005) 2004년까지 41,000㎢에 달하는 지역에서 Cs-137 오염 농도는 37kBq/㎡를 넘었다. (Figure 1.10)
각 지역의 Cs-137의 가장 높은 농도는 브라진스크(Braginsk) 지방의 잘스예(Zales'ye) 마을에서 475Ci/㎢, 고멜(Gomel) 지방의 도블라디(Dobliady)와 나로블지아(Narovlja) 구에서 500Ci/㎢였었다. 모글레프(Mogilev) 구 튜드야니(Tchudyany) 마을에서 1993년에 채취된 흙에서 검출된 방사능 오염 최대치는 5,402kBq/㎡ 혹은 145Ci/㎢이었고, 이는 참사 이전의 3,500배에 달한다. (Il'yazov, 2002).
Sr-90 오염은 Cs-137보다 지역적인 특색을 가진다. 벨라루스의 약10%, 21,100㎢의 지역은 5.5kBq/㎡ 이상으로 오염되었다. Pu-238, Pu-239, Pu-240에 의한 오염도 전 국토의 약 2%, 4,000㎢에 달하는 면적이 0.37kBq/㎡ 이상이었다. (Konoplya et al., 2006; Figure 1.12) 전반적으로 벨라루스 국토의 약 22%에 달하는 18,000㎢의 경작지가 오염되었다. 그 때문에, 2,640㎢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었고, 체르노빌 NPP 가까이 있는 폴레스크 (Polessk) 주의 1,300㎢ 지역은 긴 반감기를 가진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오염 때문에 모든 경제활동이 영원히 금지되었다.
1.2.1.2.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의 4분의 1이상의 면적 이상이 오염되었으며, 전체면적의 4.8%는 1Ci/㎢ 이상으로 Cs-137에 오염되었다. (Figure 1.13)
1.2.1.3 유럽 러시아
1992년까지 유럽 러시아의 오염은 19 러시아 주 대상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Table 1.3),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도 심각하게 오염되었을 것으로 봐야 한다.
1.2.1.4 다른 유럽 국가들
다른 유럽 국가들에의 체르노빌에 의한 Cs-137 오염은 Table 1.2에 나와있으며; 추가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불가리아(BULGARIA). 체르노빌 방사성 핵종이 불가리아에 처음 도착한 것은 5월 1일부터 10일까지이며, 두번의 피크가 5월1일과 9일에 있었다. (Pourchet et al.,, 1998)
2. 핀란드(FINLAND). 1986년 4월 28일 15:10부터 22:10 사이동안 체르노빌 낙진 구름이 남 핀란드에 가장 높은 농도로 도착했다.
3. 프랑스(FRANCE). Official Service Central de Protection Contre les Radiations Ionisantes (전리방사선 보호 센터 정도 되는 것 같음. 프랑스어: Office de protecton contre les rayonnements ionisants, 참고: http://fr.wikipedia.org/wiki/Office_de_protection_contre_les_rayonnements_ionisants ) 는 방사성 구름이 프랑스를 거쳐갔다는 것을 부정했다. 이것은 1986년 4월 29일과 30일에 일부 지역, 특히 알파인 지역, 이 오염되었다는 것과 배치된다. (Figure 1.5)
4. 독일(GERMANY). 독일의 체르노빌 오염의 정도는 아프리카로 수출된 분말 우유에서 위험 수위의 방사능 오염이 발견되어 서독일로 반송되었다는 사실로 알 수 있다. (Brooke, 1988)
5. 그리스(GREECE). 그리스는 Ag-110m, Cs-137, Sb-125가 포함된 체르노빌 방사능 핵종의 낙진을 보고했다. (Papastefanou et al., 1988a,b; Figure 1.16)
희귀한 오염을 기록하는 것 (아래의 1.4.1 섹션 참조) 은 매우 중요할 뿐 아니라, 체르노빌 오염에 연관된 유용한 자료의 불충분함의 증거가 된다: 어느 다른 나라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Ag-110m에 대한 자료가 있는가? 아무도 자료를 수집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료가 없는가? 아니면 방사성 Ag가 단지 그리스, 이탈리아, 스코틀랜드에만 오염된 것인가? (Boccolini et al., 1988: Martin et al., 1988)
6. 이탈리아(ITALY). 몇번의 방사능 구름이 지나갔지만, 가장 중요한 체르노빌 낙진은 1986년 5월 5일에 북 이탈리아에 있었다. 이탈리아에 떨어진 총량 중 97%는 4월 30일부터 5월 7일 사이에 떨어졌다. (Spezzano and Giacomelli, 1990)
7. 폴란드(POLAND). Te-122를 주요 방사성 핵종으로 하는 방사능 구름이 1986년 4월 30일에 폴란드를 지나갔다. Ru-103과 Ru-106 이 많이 포함된 수많은 "핫 파티클"이 검출되었다. (Broda, 1987) 1987년 6월에는 폴란드에서 방글라데시로 수출된 분말 우유 1,600톤에서 허용치 이상의 방사능이 측정되었다. (Mydans, 1987)
8. 스코틀랜드(SCOTLAND). Te-132, I-132, I-131을 많이 포함한 방사능 구름이 1986년 5월 3일 21:00부터 23:00까지 스코틀랜드를 거쳐갔다. (Martin et al., 1988)
9. 스웨덴(SWEDEN). 공기중 Cs-137 농도는 1986년 4월 28일에 가장 높았다. 하지만 체르노빌에서 생성된 방사성 핵종의 99%는 1986년 5월 8일에 내린 비에 의해 스웨덴에 떨어졌다. 지역 기후 조건에 따른 패턴은: Cs-137은 남 노를란드(Norrland) 해안에 떨어졌고, I-131은 북쪽과 남쪽에, Te-132는 중앙 업랜드 (Upland, 스웨덴 지방 명칭)에 떨어졌다. (Kresten and Chyssler, 1989; Mattson and Vesanen, 1988; Mellander, 1987)
10. 영국(UNITED KINGDOM). 공식적인 보고서는 영국에의 체르노빌 낙진의 양과 방사능에 의한 영향을 과소평가했다. 컴브리아(Cumbria, 지역이름)에 떨어진 Cs-137은 The Ministry of Agriculrue, Fisheries and Food의 초기 보고서보다 40배 이상 많았다. (RADNET, 2008; Sanderson and Scott, 1989)
11. 유고슬라비아(YUGOSLAVIA). 낙진은 주로 1986년 5월 3일부터 5일 사이에 일어났다. (Juznic and Fedina, 1987)
----------------------------
- 본 번역물은 저작자로부터 허락을 받지 않았습니다. 저작자 및 그에 상응하는 개인, 혹은 단체로부터 삭제요청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삭제, 공표하지 않습니다.
- 원본의 취지에 맞지 않는, 번역물의 오류, 오자, 잘못된 번역은 의도되지 않았으며, 보다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면 수정하겠습니다.
- 수정요청은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