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Ⅰ. Chernobyl Contamination: An Overview
http://www.strahlentelex.de/Yablokov%20Chernobyl%20book.pdf
Vassily B. Nesterenkoa and Alexey V. Yablokovb
aInstitute of Radiation Safety (BELRAD), Minsk, Belarus
bRussian Academy of Sciences, Moscow, Russia
Key words: Chernobyl; radioactive contamination;lead contamination;Northern Hemisphere
1.2.2 아시아
아시아에는 체르노빌 방사성 핵종의 10% 이상, 참사 첫날에 방출된 강력한 수십 PBq의 방출물이 떨어졌다. 아시아 러시아의 넓은 지역 (시베리아, 극동), 중국의 동부와 중앙 (Figure 1.14),
그리고 터키의 아시아 지역은 상당히 오염되었다. 중앙 아시아에서도 체르노빌 낙진이 발견되었고 (Imamniyazava, 2001), 일본에서도 발견되었다. (Imanaka, 1999; Figure 1.14)
1. 트랜스 코카서스 (Trans-Caucasus). 서부 조지아 (Western Georgia)는 특히 많이 오염되었다. 1995년부터 2005년까지 토양에서의 Cs-137 평균 측정치는 530Bq/kg이었고, 동부 조지아 (East Georgia)의 두배였다. Cs-137과 Sr-90의 합계치는 1,500Bq/kg에 달했다. (Chankseliany, 2006; Chankseliany et al., 2006)
2. 일본(Japan). 1986년 5월 초와 말에 체르노빌 방사성핵종을 가진 두개의 구름이 발견되었다. 가장 수치가 높았던 곳은 북서부 일본이었고, 가장 집중되었던 것은 5월 5일이었다. 성층권까지 올라간 체르노빌에서 발생된 물질은 1988년 끝까지 계속되었다. (Higuchi et al., 1988; Imanaka and Koide, 1986)
코카서스에는 아직도 좁은 장소에서 높은 방사선을 보이는 장소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트랜스 코카서스, 중앙 아시아 (터키,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을 포함한 지역), 중국, 페르시아만에서는 아직도 낮은 수준의 방사선을 보이고 있다.
1.2.3 북 아메리카
북 아메리카 지역은 맨처음 폭발로 10km 이상의 높이로 올라간 방사성 핵종의 구름에 의해 오염되었다. 체르노빌 핵종의 약 1% - 몇 PBq - 이 북 아메리카에 떨어졌다.
1. 캐나다 (Canada). 동부 캐나다에는 Be-7, Fe-59, Nb-95, Zr-95, Ru-103, Ru-106, I-131, La-140, Ce-141, Ce-144, Mn-54, Co-60, Zn-65, Ba-140, Cs-137로 이루어진 방사능을 띈 공기가 3번 도착했다. 5월 6일과 14일의 낙진은 극지방까지 도달했고, 5월25일과 26일에는 태평양에 도달했다. (Roy et al., 1988) 1986년의 "Environmental Radioactivity in Canada" 공식 보고서에는 체르노빌에서 생성된 Ru-103, Ru-106, Cs-134, Cs-137이 6월 중순까지 지속적으로 검출되었다. (RADNET, 2008)
2. 미국 (United States). 체르노빌 구름은 극지방의 낮은 대류권과 대서양의 중간 대류권 각각을 통해 미국에 도달했다. 체르노빌 동위원소, Ru-103, Ru-106, Ba-140, La-140, Zr-95, Mo-95, Ce-141, Ce-144, Cs-134, Cs-136, Cs-137, I-132, Zr-95가 알라스카, 오레곤, 아이다호, 뉴저지, 뉴욕, 플로리다, 하와이 그리고 다른 주에서 검출되었다. (Table 1.4)
1986년 5월 15일 AP통신 (Associated Press) 는 "오레곤 관리 당국은 빗물을 식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한동안 다른 물을 이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라고 보도했다.
1.2.4 극지방
극지방에서도 체르노빌의 오염도는 높았다.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 (Franz Josef Land) 에서 자생하는 서리이끼류 (Racomitrium) 는 Cs-137을 630Bq/kg(건조상태)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중 548 Bq/kg (87%)는 체르노빌 낙진에서 온 것이었다. (Rissanen et al., 1999)
1.2.5 북 아프리아
북 아프리아에 떨어진 방사능 핵종은 참사 첫날에 강력하게 방출된 것이었으며 체르노빌 유출물의 5% 인 20PBq 이상이 떨어졌다.
1. 이집트 (Egypt). 나일강 바닥 퇴적물에서 Cs-137과 Pu-239/Pu-240 비율은 체르노빌 오염의 확실한 증거이다. (Benninger et al., 1998)
1.2.6 남반구
남반구에서는 인도양에 있는 레위니옹 섬 (Reunion Island)과 태평양에 있는 타히티 (Tahiti)에서 Cs-137과 Cs-134가 발견되었다. 1987년과 1988년에 떨어진 남극 근처의 눈에서 Cs-137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UNSCEAR, 2000)
----------------------------
- 본 번역물은 저작자로부터 허락을 받지 않았습니다. 저작자 및 그에 상응하는 개인, 혹은 단체로부터 삭제요청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삭제, 공표하지 않습니다.
- 원본의 취지에 맞지 않는, 번역물의 오류, 오자, 잘못된 번역은 의도되지 않았으며, 보다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면 수정하겠습니다.
- 수정요청은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1.2.2 아시아
아시아에는 체르노빌 방사성 핵종의 10% 이상, 참사 첫날에 방출된 강력한 수십 PBq의 방출물이 떨어졌다. 아시아 러시아의 넓은 지역 (시베리아, 극동), 중국의 동부와 중앙 (Figure 1.14),
그리고 터키의 아시아 지역은 상당히 오염되었다. 중앙 아시아에서도 체르노빌 낙진이 발견되었고 (Imamniyazava, 2001), 일본에서도 발견되었다. (Imanaka, 1999; Figure 1.14)
1. 트랜스 코카서스 (Trans-Caucasus). 서부 조지아 (Western Georgia)는 특히 많이 오염되었다. 1995년부터 2005년까지 토양에서의 Cs-137 평균 측정치는 530Bq/kg이었고, 동부 조지아 (East Georgia)의 두배였다. Cs-137과 Sr-90의 합계치는 1,500Bq/kg에 달했다. (Chankseliany, 2006; Chankseliany et al., 2006)
2. 일본(Japan). 1986년 5월 초와 말에 체르노빌 방사성핵종을 가진 두개의 구름이 발견되었다. 가장 수치가 높았던 곳은 북서부 일본이었고, 가장 집중되었던 것은 5월 5일이었다. 성층권까지 올라간 체르노빌에서 발생된 물질은 1988년 끝까지 계속되었다. (Higuchi et al., 1988; Imanaka and Koide, 1986)
코카서스에는 아직도 좁은 장소에서 높은 방사선을 보이는 장소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트랜스 코카서스, 중앙 아시아 (터키,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을 포함한 지역), 중국, 페르시아만에서는 아직도 낮은 수준의 방사선을 보이고 있다.
1.2.3 북 아메리카
북 아메리카 지역은 맨처음 폭발로 10km 이상의 높이로 올라간 방사성 핵종의 구름에 의해 오염되었다. 체르노빌 핵종의 약 1% - 몇 PBq - 이 북 아메리카에 떨어졌다.
1. 캐나다 (Canada). 동부 캐나다에는 Be-7, Fe-59, Nb-95, Zr-95, Ru-103, Ru-106, I-131, La-140, Ce-141, Ce-144, Mn-54, Co-60, Zn-65, Ba-140, Cs-137로 이루어진 방사능을 띈 공기가 3번 도착했다. 5월 6일과 14일의 낙진은 극지방까지 도달했고, 5월25일과 26일에는 태평양에 도달했다. (Roy et al., 1988) 1986년의 "Environmental Radioactivity in Canada" 공식 보고서에는 체르노빌에서 생성된 Ru-103, Ru-106, Cs-134, Cs-137이 6월 중순까지 지속적으로 검출되었다. (RADNET, 2008)
2. 미국 (United States). 체르노빌 구름은 극지방의 낮은 대류권과 대서양의 중간 대류권 각각을 통해 미국에 도달했다. 체르노빌 동위원소, Ru-103, Ru-106, Ba-140, La-140, Zr-95, Mo-95, Ce-141, Ce-144, Cs-134, Cs-136, Cs-137, I-132, Zr-95가 알라스카, 오레곤, 아이다호, 뉴저지, 뉴욕, 플로리다, 하와이 그리고 다른 주에서 검출되었다. (Table 1.4)
1986년 5월 15일 AP통신 (Associated Press) 는 "오레곤 관리 당국은 빗물을 식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한동안 다른 물을 이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라고 보도했다.
1.2.4 극지방
극지방에서도 체르노빌의 오염도는 높았다.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제도 (Franz Josef Land) 에서 자생하는 서리이끼류 (Racomitrium) 는 Cs-137을 630Bq/kg(건조상태)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중 548 Bq/kg (87%)는 체르노빌 낙진에서 온 것이었다. (Rissanen et al., 1999)
1.2.5 북 아프리아
북 아프리아에 떨어진 방사능 핵종은 참사 첫날에 강력하게 방출된 것이었으며 체르노빌 유출물의 5% 인 20PBq 이상이 떨어졌다.
1. 이집트 (Egypt). 나일강 바닥 퇴적물에서 Cs-137과 Pu-239/Pu-240 비율은 체르노빌 오염의 확실한 증거이다. (Benninger et al., 1998)
1.2.6 남반구
남반구에서는 인도양에 있는 레위니옹 섬 (Reunion Island)과 태평양에 있는 타히티 (Tahiti)에서 Cs-137과 Cs-134가 발견되었다. 1987년과 1988년에 떨어진 남극 근처의 눈에서 Cs-137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UNSCEAR, 2000)
----------------------------
- 본 번역물은 저작자로부터 허락을 받지 않았습니다. 저작자 및 그에 상응하는 개인, 혹은 단체로부터 삭제요청이 있을 경우 지체없이 삭제, 공표하지 않습니다.
- 원본의 취지에 맞지 않는, 번역물의 오류, 오자, 잘못된 번역은 의도되지 않았으며, 보다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면 수정하겠습니다.
- 수정요청은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